재무관리의 시작은 자신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모든 것이 그렇듯이 앞으로의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지금 자신이 어떠한지부터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과 같은 물음에 먼저 답해보길 바란다.
1. 주요 수입원은 무엇인가?
2. 자산은 어떻게 구성되어있으며 얼마나 있는가?
3. 직업이 있다면 직업의 특성상 수입은 일정한가?
4. 지출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어떠한 곳에 가장 많은 지출이 이루어지는가?
5. 저축하는 습관이 있는가?
6. 자신의 나이는?
7. 자신의 성향은?
8. 자신의 가치관은?
1. 주요 수입원은 무엇인가?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이 대답은 대게 자신의 직업관 연관이 되어있을 것이고 소득은 자신이 일하여 얻은 수입이 될 것이다.
만일 고액의 자산가이거나 건물주 혹은 물려받은 재산이 많거나 자수성가한 Case라면 굳이 이 series를 읽을 필요는 없을 것이라 생각되지만 그래도 자신의 자산을 형성하며 조직화된 포트포리오를 통해 더 많은 수입을 갖고 싶다면 본 series의 마지막까지 읽어나아가길 바란다.
2. 자산은 어떻게 구성되어있으며 얼마나 있는가?
자산이 단일 자산으로 구성되어있는지 아니면 여러 곳에 분산되어있는지 그리고 그 액수는 얼마나 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3. 직업이 있다면 직업의 특성상 수입은 일정한가?
직업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주요 수입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직업이 안정적이고 정기적으로 월급이 들어오는 공무원 같은 직업이라면 투자는 조금 위험하게 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직업이 불안정하고 급여도 비정기적으로 들어오며 앞으로의 수입을 예측하기 어렵다면 안정적으로 자산을 구성해야할 필요가 있다.
4. 지출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어떠한 곳에 가장 많은 지출이 이루어지는가?
자신의 지출이 생계를 위한 필수적인 곳에만 사용되는지 아니면 이것에 더해 자신이 사고 싶은 물건이나 서비스들을 소비하는 데에 사용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소득 - 지출 = 저축'이라는 공식에 따라 자신이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을 파악하는 것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현재 지출을 파악하기 위해 카드 내역서를 살펴보거나 가계부를 작성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5. 저축하는 습관이 있는가?
저축을 하는 습관은 자산형성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하다 이는 굳이 본인이 이야기 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만일 저축하는 습관이 없다면 이를 만드는 과정부터 시작해야하며 저축하는 습관이 있다면 자연스럽게 다음 단계인 투자와 포트폴리오 구성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자신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만큼 이 단계를 반드시 숙지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를 바란다.
6. 자신의 나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생애주기에 따라서 위험한 투자는 적게 그러나 안정적인 자산은 많이 보유하는 것이 중요하며 일정 나이가 지나면 투자는 의미가 없을지도 모른다.
100 - 나이 = ? 이 물음표에 해당하는만큼의 위험한 투자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범위이다. 더 많이 혹은 더 적게 해도 되지만 그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는 말아야한다.
7. 자신의 성향은?
자신이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지 혹은 안정적인 것을 좋아하는지를 아는 것에서부터 투자를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8. 자신의 가치관은?
자신이 담배를 싫어한다고 가정하면 절대로 담배를 만드는 회사에 투자할 생각은 없을 것이다. 이렇나 맥락에서 자신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투자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 재무관리 (3) 주식 (0) | 2021.06.04 |
---|---|
개인 재무관리 (2) (0) | 2021.06.03 |
개인 재무관리 (0) (0) | 2021.06.02 |
음원 저작권 투자 (Feat. 뮤직카우) (0) | 2021.06.01 |
그림 투자, 아트테크 (Feat. Tessa) (0) | 2021.06.01 |